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주식용어

동시호가 주문 체결 시간 매매 방법 알아보자

by 자유로운인생~ 2023. 7. 20.
반응형

주식 정규시장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5시 30분 까진 건

주식하는 분들이면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주식한 지 얼마 안 되신 분들은

09시 주식 정규장이 시작되기 전

 

08시 30분부터 호가창이 움직이는 거보고

이게 뭘까 어떻게 거래하는 거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거라 봅니다.

물론 저도 몰랐을 땐 그랬으니까요

 

그걸 이제 동시호가라고 부르는데요

간단히 뜻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시호가란? 장 시작 전과 직 후에

진행되는 제도이며 주문량이

한 번에 빵 터지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동시호가는 위로 세 칸 아래로 세칸

호가만 보입니다. 익숙한 화면이죠?

 

처음에는 좀 복잡하실 수도 있는데

며칠 동안 그냥 한주씩 거래해 보시면 됩니다.

 

08:30분 ~ 08:40분은 (장전 시간 외 종가) 있는데

매수 옵션을 변경하셔서 거래하셔야 합니다.

전날 종가 가격으로 거래가 됩니다.

 

하지만 저 시간대 거래는 개인은 거의 못하고

세력 기관 외국인들의 라인입니다.

 

개인도 할 수 있지만 체결 거의 안됨

주식 거래 수량 차이가 너무 심해서

 

나머지는 08:30 ~ 09:00에 한 번에 빵

거래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선순위는 가장 높은 금액과 수량

여기는 개인도 높은 금액에 그냥

매수 걸어놓으면 구매가 될 수도 있음

한 가지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일 종가로 2만 원에 구매한 주식을

이제 오늘 09시 되기 전에 팔고 싶다.

 

나는 2만 500원에 팔아도 만족이니

2만500원에 팔생각으로 매도를 걸었다.

 

08시 59분 돼 보니 호가창이 2만 2천 원에서

왔다 갔다 하는데 09시 되더니 결국

2만 2천 원에 주차를 해버렸다는 가정하에

 

나는 분명 2만 500원에 매도를 걸었는데

체결은 2만 2천 원으로 된다는 것입니다.

 

즉 한 번에 동시에 거래가 되기 때문에

내가 아무리 현재 가격에 비해 낮게 걸어도

 

한 번의 폭발적인 거래는 결국 2만 2천 원으로

되었기 때문에 2만 2천 원에 판매가 된 거죠

반대 예시로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나는 이주식을 꼭 09시 되기 전 2만 원에 살 거야

하고 주문을 걸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08:59분이 되니 동시호가창이 1만 8천 원~9천 원

왔다 갔다 하다 결국 9시 되니까

1만 8천 원이 됐다고 가정하면

 

내가 2만 원에 주문을 걸었지만

체결되는 금액은 1만 8천 원이 됩니다.

 

만약 동시호가가 2만 100원이 되면

체결이 안 되겠죠?

 

가지고 싶던 주식을 아무리 높은 가격으로

주문해도 호가에 쌓여있는 매물이 있기 때문에

순서대로 체결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15시 20분에도 동시호가가 시작되죠

10분간 호가창이 움직이면서

가장 높은 가격 혹은 가장 낮은 가격에 체결이 됩니다.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으니 한주씩

거래하면서 경험해 보는 걸 권장드립니다.

 

필자 같은 경우는 15시 20분 동시호가를

좀 자주 애용하기도 합니다. 수급이 쌘 종목은

 

그다음 날 갭상승할 가능성이 조금 높기 때문에

시외 거래도 항상 꼼꼼히 살펴보기도 하죠

 

동시호가에 거래해서 시외가에 팔아서

수익을 챙기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 이 종목은 분명 동시호가 이보다 크게

거래될게 분명해하고 15시 19분에 매수하다

 

15시 30분 동시호가에 처맞을 수도 있으니

항상 경계하고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동시호가 시간대에는 흔히 장난질한다는

말을 한 번씩은 들어보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내가 선택한 종목이 갑자기 15시 25분에

수급이 폭발적으로 들어와 상승 VI 직전까지

 

왔다 갔다 하면서 흥분해서 공중제비를 돌았지만

15시 29분에 갑자기 수급 빡 없어지면서

다시 제자리 원위치 하는 그림이 자주 나오기 때문이죠

 

이게 체결이 안되니까 세력들이 개미 꼬시거나

혹은 물량과 수급이 얼마큼 들어오는지

체크할 때 쓰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정말 찐 가격은

체결되기 1분 혹은 30초 전에 나오는

가격이 아닐까 조심히 말해봅니다.

 

자 마지막으로 정리를 해보자면..

동시호가는 페이크가 많으니 조심하자

 

정말 찐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체결되기 1분 전부터 확인해 보자..

 

한 주씩 구매해서 동시호가 거래를 해보자

거래를 해봐야 시스템이 이해되기 때문에

 

이상으로 동시호가 주문 체결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