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주식용어

상장폐지 정리매매 뜻 재상장 조건 되면 알아보자

by 자유로운인생~ 2023. 7. 18.
반응형

주식관심 없는 사람들도 직장 생활하거나

뉴스나 기사 보면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단어 상장폐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장폐지에도 여러 서브 단어들이 있는데

정리매매 조건 감자 캐기 등등

일단은 상장폐지 뜻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상장폐지란? 상장된 기업이

한국거래소가 정해둔 기준에 미달할 경우

상장이 취소되는 것 을 말합니다.

 

보통 기업이 상장되는 조건이 상당히 복잡하고

어려운 절차를 밟아가며 상장하기에

 

그만큼 상장된 기업으로서 유지해야 되는

경영 및 재무상태의 한계치가 존재합니다.

그걸 지키지 못하면 상장폐지는 필연적이죠

상장폐지기준 조건을 간단히 정리하면

주식분산 및 거래량, 지배구조 미달

매출액 및 주가 시가총액 미달

 

회생절차 및 파산신청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정기보고서 미제출

 

감사인의견 미달, 자본잠식

공시의무 위반, 즉결 퇴출 사유 등등

즉 투자할 땐 오너리스크가 존재하는 법

 

필자 같은 경우에는 보통 3년 적자 기업은

투자하지 않습니다. 경험상 상폐된걸 자주 봄

상장폐지가 결정된 종목은 거래소에서

투자자에게 최종적으로 매매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데 바로 이걸 정리매매 라고합니다.

 

정리매매란? 상폐가 결정된 종목에 투자자가

마지막으로 매매할수 있는 기회를 주는 제도

 

상장폐지 되어 장외주식이 되면 투자금 회수가

어렵기 때문에 투자자보호 차원에서 두는 제도

 

한국거래소는 정리매매 기간을 7 거래일로

두고 있으며 자유롭게 거래되는 일반주식과

다르게 정리매매 종목은 단일가 매매로 이루어짐

 

일반주식과 다른 차이를 두자면 상한가 하한가

제한폭이 없음 즉 30% 이상 혹은 이하로

떨어지거나 오를 수 있습니다.

분명 상장폐지 확정에 정리매매 시즌인데

주가가 오르는 경우가 있는데 왜일까?

 

정리매매 주식을 사는 사람이 존재한다는 건데

솔직히 필자도 이 부분은 납득하기 어렵다.

 

보통은 투기세력 혹은 정매꾼(정리매매꾼)

기존주주 세 그룹의 환장 콜라보가 아닐까 생각된다.

 

기존주주는 기정사실된 손실 상태이기 때문에

최대한 손실을 덜기 위해 물타기를 시도하여

조금이라도 오를 때 손실을 줄여 탈출하려는 그룹

 

정매꾼은 쉽게 말하면 한탕을 꿈꾸는 투자자

일부로 정리매매 때 접근하여 큰 수익을 챙기는 그룹

 

투기세력은 상하한가 제한이 없는 특징을 이용하여

마지막 폭탄 돌리기를 시전 하는 그룹

삼중우를 보면 상폐되기 며칠 전에 이 백퍼 넘게 올렸는데

여기에 냅따 달려든 정매꾼들과 조금 더 조금더

오르겠지 하고 지켜본 기존주주들 심리를 이용해서

 

마지막에 확 꺾어버리는 화려한 운전으로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큰 손실을 보게 되었죠

보통 상당한 높은 확률로 세력들은 차익실현함

 

결국 지는 건 개인들이기 때문에 욕심부리지 말고

제일 베스트는 정리매매 쳐다도 안 보는 것

 

투자하고 생각도 안 하고 있다가 갑작스러운

상장폐지에 정리매매 시즌도 놓친

투자자분들도 상당히 많이 존재합니다.

 

희박한 확률로 다시 재상장되는 케이스도 있는데

상장폐지 됐다고 해서 기업이 부도나는 건

 

아니기 때문이죠 그냥 거래소 기준을 맞추지 못해

상장이 폐지됐을 뿐 기업은 운영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만년 적자에서 크게 대박 쳐

회생 기대감으로 재상장이 되거나

 

인수 합병 등을 통해 재상장이 되게 되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주가보다 훨씬 크게

상승하는 케이스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보통은.. 아시죠? 망합니다

또한 그 상장폐지 된 기간 동안

맘 상할 거 생각하면 잠도 안 올 겁니다.

 

보통 주식 크게 물려도 맘고생 심한데

상장폐지된 종목을 가지고 있으면

얼마나 심기가 불편하겠어요

 

항상 투자할 땐 남의 판단이 아닌 본인의 판단으로

재무제표와 여러 지표들 체크하실 바랍니다.

 

이상으로 상장폐지와 정리매매 대해

간단히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