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를 하게 되면 공과금을
정산해야 하는데 도시가스
수도 전기 3가지가 있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이사 공과금 정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빌라와 아파트 경우에는 조금 다른데
아파트의 경우는 관리사무소에서
대부분 해결해 준다고 보면 됩니다.
방면 빌라의 경우에는 직접
정산을 해야되는 되는데
빌라라도 가끔식 부동산에서
정산을 진행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기요금
전력 측정기의 수치를 확인합니다.
그다음 "123" 전화 한뒤
상담원에게 측정기 수치를 말합니다.
수치를 말하면 상담원이 정산해야 할
요금을 문자로 정확하게 보내줍니다.
가스요금
가스는 지역마다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서울 경기도 인천 등등
도시가스가 나뉘어있습니다.
고지서 하단 보시면
번호가 쓰여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전화하기 전 먼저 알아둬야 하는 게 있는데
계량기 수치를 먼저 체크해야 합니다.
그 후 상담원에게 수치를 말한 뒤
문자로 보내달라고 하면
사용정보와 요금 상세내역 등
깔끔하게 정리되어 보내줍니다.
신축의 경우는 집주인이
도시가스 비용을 내야 합니다.
급할 땐 비용을 본인이 지불한 후
집주인에게 연락해서 받으면 됩니다.
수도요금
지역별 상하수도사업본부
콜센터로 전화합니다.
먼저 수도 계량기를 체크
하신 후 상담원에게 전화합니다.
상담원에게 전화 후 계량기를
알려주면 이용요금 정산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의 경우에는 다산 콜센터
"120"으로 상담이 가능합니다.
인터넷 서비스
이삿날에 맞춰 이전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인터넷의 경우 이사 갈 지역
주소를 미리 알려줘야 합니다.
먼저 이전이 가능한 지역인지
아닌지 먼저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인터넷 같은 경우는 이사 가기
일주일 전에는 미리 말해줘야 합니다.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
각 통신사별로 주는 모뎀이 있는데
이사 갈 땐 꼭 챙겨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가끔 이사 가는 지역이
이전이 불가능한 지역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 약정이 남아 있더라도
위약금 없이 해지가 가능합니다.
요약
이사 가기 전엔 꼭 공과금을 정산해야 한다.
도시가스 수도 전기 3가지가 있다.
'경제정보 > 부동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계약금 반환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0) | 2024.03.09 |
---|---|
도로점용허가 점용료 신청서 알아보자 (0) | 2024.03.08 |
소유권이전등기 서류 및 신청방법 알아보자 (1) | 2024.03.06 |
부동산 보유세 재산세 계산기 활용해보자 (0) | 2024.03.05 |
구거점용허가 절차 및 농업기반시설 대상 간단하게 알아보자 (1) | 2024.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