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권리금뜻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권리금 정리
토지 나 건물의 임대차에 부수하여
그 부동산이 가지는 특수한 장소적
이익의 대가로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지급하는 금전을 말합니다.
한 가지 예로 들자면 장사가 매우 잘 되는
떡집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그 집주인은 이제 슬슬
지쳐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과정에서
이 가게는 본인이 몇 년 동안 꾸준히
운영을 했고 자리 또한 좋고
기존 이용 고객이 많이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도구와
시설 등등 여러 조건이 형성되어
이 떡집을 이제 가져가는 사람에게
권리금을 요구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가게를 받았는데 기존 손님과
거래처 비품 등등 형성이 되어있다면
출발점에서 아주 유리하게
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도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권리금 같은 경우 부동산
중개업자 와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중개 사업자가 권리금을 달라고 하면
절대 돈을 주시면 안 됩니다.
권리금은 임대인과 임차인
관계로 지불되는 과정입니다.
- 떡 집을 다시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임차인이 상가를 오픈할 때 투자했던
도구 인테리어 시설 등등 비용을
권리 주장하기 위해 받는 금액인데
이걸 영업 권리금이라고 합니다.
위 와 같은 도구와 시설을 그대로
받으면 권리금을 지급해야 되지만
업종만 승계할 경우에는
지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권리금을 계약할 때 본 임대차계약의
임대인의 내용을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건축물대장 건축 등 기사 한 증명서 등
본인이 확실한지 인증할 수 있는
모든 서류를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 권리금은 3가지의 성격으로
- 가치가 내재되어 있습니다.
시설 권리금부터 설명하자면
아까 위 설명했지만 장사가 잘 되는
떡 집을 기존의 주인이 창업했을 때
들어갔던 비용들을 계산합니다.
ex) 인테리어, 도구, 비품 등등
주인이 투자한 금액에 대해
보전해 주는 권리금을 말합니다.
바닥 권리금
떡집이 좋은 위치에 속해있다면
ex) 역세권, 학세권, 인구 유동이 많은 곳
좋은 입지에 위치하고 있으니
그만큼 프리미엄이
붙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만큼 가게는 위치가 좋으면
매출에 아주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영업 권리금
기존 떡 주인장이 단골손님 및
거래처 등 확보한 상태에서
꾸준한 매출이 있는 떡집이면
그 떡집을 매수하면 그래도
보장되어 있는 매출이 있다는 점
보통 권리금이라고 부르기도
하니 알아두시면 도움 되실 겁니다.
주의사항도 있으니 계약하실 때는
꼭 확인하고 잘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경제정보 > 부동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크 아웃이란 새집 증후군 증상 해결 방법 알아봅시다 (0) | 2024.04.03 |
---|---|
가건물 신고와 허가사항 기준 알아보자 (0) | 2024.04.02 |
부동산 직거래 주의점 과 장단점 사이트 활용하자 (2) | 2024.03.31 |
아파트 방향 차이 선호도 장단점 정리 (0) | 2024.03.30 |
아파트 오피스텔 차이점 아파텔 뜻 (0) | 2024.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