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DSR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SR 이란 무엇인가?
Debt Service Ratio의 약자로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을 말한다.
개인이 1년간 갚아야 하는
담보 신용대출 등 모든 부채의
원리금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쉽게 풀어보자면 연간 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연 소득을 정하는 제도이므로
대출금액이 줄어들지만
대출받는 것도 어렵게
만드는 제도 이기도 합니다.
마이너스 통장의 경우에도
DSR은 포함이 되는 부분 되는데
DTI와는 다른 점이 있습니다.
DTI는 주택 담보대출 기반으로
상환 원리금 대출한도로 계산하면
DSR은 신용대출 학자금 등등
모든 대출의 원금 이자를 고려해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는 규제입니다.
DSR 규제가 시행되면 은행에서
대출받는 게 더욱 까다로워집니다.
금융 조건에 따라 DSR 상한선에
걸려 대출이 거절될 수도 있고
주택 담보대출뿐만 아니라
모든 가계대출에 적용되어
DSR 비율이 강화되면 좀 더
강력한 규제가 발생합니다.
은행도 평균 DSR 40%로
낮추려는 계획이 있습니다.
네이버에 DSR 계산기만 쳐도
나오니 궁금하신 분은 사용해 보세요
부동산 거래할 땐 항상 규제 먼저
체크하고 정확하게 계산해야 합니다.
요약
DSR 이란 총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을 말한다.
개인이 1년간 갚아야 하는 담보 신용
대출 등 부채를 연소득으로 생각하자
'경제정보 > 부동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개발 절차와 감정평가의 기준 순서를 알아보자 (0) | 2024.03.22 |
---|---|
LTV DIT 란 무엇인지 계산기 쳐보자 (1) | 2024.03.21 |
건축물 용도변경 허가 절차를 알아보자 (0) | 2024.03.19 |
주택임대사업자 혜택 정리해보자 (0) | 2024.03.18 |
가족간 부동산 거래 매매시 주의해야할점 (0) | 2024.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