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과 관련된 주제 1 가구 2 주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부동산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이런 내용에 대해 한번쯤 궁금해하셨을 겁니다. 주택이나 아파트 투자를 고려하는 분들이 가끔 오피스텔에 대해 궁금해하는데 오피스텔과 일반 주택의 차이는 무엇이 있을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주택과 오피스텔 차이
2. 1가구 2 주택 적용 방지 방법
3. 정리
주택과 오피스텔 차이
일반 주택은 주거 목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오피스텔은 업무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주거와 업무 시설 분리되어 있는 걸 의미하는데요 이러한 분류 기준은 전입신고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만약 전입신고를 하게 되면 임대된 오피스텔도 주거용으로 분리 될 수 있으며 주거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1 가구 2 주택에 포함되어 부가세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잘 알아보셔야 합니다. 추가 양도소득세나 특공 혜택등 불리한 조건이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꼭 잘 확인해야 합니다.
1 가구 2주택 적용 방지 방법
1가구 2 주택에 적용되지 않으려면 사업자 등록을 해야 합니다. 일반 임대 사업자나 주택 임대 사업자로 등록하면 됩니다. 하지만 주거 목적으로 사업자를 등록하면 부가세 환급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0%를 환급해 주니 잘 생각해야 합니다.
사업자를 제출하고 업무로 사용하는 곳이 아닌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는 분들도 계시는데 걸리면 큰일 납니다.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오피스텔은 사업자등록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주택임대 사업자 등 본인에게 맞는 형식으로 가면 될 것 같습니다.
정리
오피스텔을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업자 등록을 고려하는 게 좋습니다. 주택 임대 사업자 등 적절한 형태로 등록하면 됩니다. 현실적으로 주거로 사용한다면 1 가구 2 주택에 해당되니 이를 유의하고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경제정보 > 부동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대장 무료열람 쉽게 확인하는 방법 (0) | 2024.05.09 |
---|---|
기관추천 특별공급조건 장단점 정리 (0) | 2024.05.08 |
다자녀 특별공급 조건 과 자격 점수 살펴보기 (0) | 2024.05.07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간단하게 해결 (0) | 2024.05.06 |
주택청약 해지방법 간단히 살펴보자 (0) | 2024.05.01 |
댓글